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슈

데이터센터 건설, 왜 주민들은 반대할까?

by 평기형 2025. 5. 5.

전자파부터 님비까지, 기술과 삶의 충돌

목차

  1. 데이터센터 안에는 뭐가 있을까?
  2. 망가지면 어떤 일이 생길까?
  3. 고용 효과는 있나요?
  4.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
    4-1. 다른 지역의 갈등과 상생 사례
  5. 전문가들은 뭐라고 할까?
  6. 해결책은 없을까?
  7. 전력은 어떻게 공급되고, 전자파는 괜찮을까?
    7-1. 데이터센터의 미래 전망
  8. 한 줄 요약 + 복습 퀴즈

1. 데이터센터 안에는 뭐가 있을까?

서버부터 보안까지, 디지털 심장의 내부 구조

데이터센터는 단순한 건물이 아닙니다. 우리가 보내는 사진, 영상, 문자 같은 정보들이 실제로 저장되고 오가는 곳이죠.

  • 서버: 수천 대의 초대형 컴퓨터
  • 냉각 시스템: 열을 식히는 대형 에어컨
  • 이중 전원: 정전에도 끄떡없는 UPS와 비상 발전기
  • 보안 시스템: 지문 인식, CCTV 등 보안 설비


2. 망가지면 어떤 일이 생길까?

데이터센터 사고가 일상에 미치는 파급력

  • 카카오 화재: 카톡·결제·택시 앱 모두 먹통
  • 해킹 시 개인정보 유출 위험
  • 병원, 공항, 증권사 등 사회 시스템 연쇄 마비 가능성

📦 다행히 대부분의 데이터는 여러 곳에 나눠 저장돼 있어 하나가 망가져도 복구가 가능한 구조입니다. 이를 '분산 저장' 또는 '이중화'라고 부릅니다.


3. 고용 효과는 있나요?

일자리 창출? 기대만큼 크지는 않다

  • 데이터센터는 자동화되어 있어 필요한 인원이 적습니다.
  • 건설 중에는 단기 고용이 발생하지만, 운영 후엔 소수의 전문 인력만 상주합니다.
  • 그래도 전기·설비업체 유입과 지방세 수입 증가 등 지역 경제에 작게나마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4.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

전자파·소음·집값 하락… 주민 불안의 핵심들

  • 전자파가 건강에 해롭진 않을까?
  • 냉각 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열기
  • 부동산 가치가 떨어질지 모른다는 불안
  • 사전 설명도 없이 시작된 공사에 대한 불신

고양시 덕이동의 사례처럼 반대가 커지면 공사 중단, 행정소송까지 번지기도 합니다.


4-1. 다른 지역의 갈등과 상생 사례

반발 vs 수용, 지역별 온도차는 왜 생겼을까?

평택 고덕지구는 전력 독점과 전자파에 대한 우려로 주민 반발이 컸고, 세종 장군면은 설명회와 지역 기여 약속을 통해 큰 갈등 없이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어차피 시대 흐름이라면, 우리 지역도 혜택 보면서 받아들이는 게 맞다고 봐요.”
— 장군면 주민 조모 씨, 주민설명회 발언 중

핵심은 설명과 신뢰였습니다.


5. 전문가들은 뭐라고 할까?

전자파 위험? 과학적으로는 안전합니다

데이터센터 내부 전자파는 전자레인지보다 훨씬 낮으며, WHO 기준의 1~2% 수준에 불과합니다. 방음과 냉각 설비도 점점 더 정밀해지고 있어 건강 영향은 사실상 미미한 수준입니다.

디지털센터

 


6. 해결책은 없을까?

주민과 기업 모두를 위한 공존의 길

  • 전자파 수치, 설계 방식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 냉각 기술, 방음, 지열 시스템 등 친환경 설계를 도입하며
  • 주민들과 설명회나 간담회를 자주 열고
  • 정부 차원의 기준을 만들어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것

기술만 앞세우기보다 사람들과의 소통이 더 중요합니다.


7. 전력은 어떻게 공급되고, 전자파는 괜찮을까?

데이터센터는 전기를 어떻게 쓰고, 얼마나 안전할까?

데이터센터는 한전 등에서 고압 전기를 받아 내부 변압 장치로 조절해 사용합니다.

  • 순간 정전에 대비해 UPS(무정전 전원 장치)를 두고
  • 완전한 정전 상황에도 돌아갈 수 있도록 비상 발전기도 갖춤
  • 전력은 보통 2중, 3중으로 공급돼 한 라인이 끊겨도 나머지로 운영 가능

전자파는 고압선이나 UPS, 변압기 등에서 나올 수 있지만 지중화 설계나 차폐 설계 등을 통해 국제 기준 이하로 억제되고 있습니다.


7-1. 데이터센터의 미래 전망

AI 시대, 데이터센터는 어떻게 진화할까?

에너지 효율 기술은 해수·지열 냉각 등으로 발전 중이며, AI 보급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해저·도심·지하 등 새로운 입지 방식도 실험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는 더 조용하고, 더 가까이, 더 똑똑해지고 있습니다.


8. 한 줄 요약 + 복습 퀴즈

오늘 내용을 간단히 복습하고 마무리해 볼까요?

데이터센터는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입니다. 그러나 기술만큼 중요한 건 사람과의 신뢰입니다.

복습 퀴즈

  1. 데이터센터 전자파는 전자레인지보다 강하다? → ❌
  2. 데이터는 하나의 서버에만 저장된다? → ❌
  3. 데이터센터는 고용 효과가 크다? → ❌
  4. 데이터센터 전력은 단선 공급 구조다? → ❌ (2~3중 공급)

 

 

[사회이슈 점검] 외국인 노동자 없이 공장은 돌아갈까?

목차외국인 없으면 멈추는 현장들왜 외국인 노동자가 늘어나고 있을까?내국인은 왜 일하지 않을까?외국인 노동자 = 값싼 인력? 진실은?외국인은 어디서 오는가? (E-9·E-7-4 비자)이들이 사라지면

richardko12kia.tistory.com

 

 

[사회이슈] 역전세·깡통전세·전세사기… 내 보증금은 안전할까?

✅ 목차내 보증금, 정말 안전할까?전세가 떨어지면 벌어지는 일 (역전세난)돌려받지 못한 보증금 – 생생한 피해 사례들집값보다 전세금이 더 많은 깡통전세란?전세 피해, 이렇게 구별하자 (역

richardko12kia.tistory.com